본문 바로가기

AS문의 010-2856-2856 일상 생활과 건강

산초 (山椒) 효능 및 민간요법

산초의 명칭은 사천성의 가운데 글자 천을 따서 천초(川椒) 또는 촉나라의 촉자를 따서 촉초(蜀椒), 요즘은 화초(花椒)라고도 한다. 한방에서는 산초열매의 껍질을 천초(川椒)라 하여 여러가지 질병 치료에 이용하고 있다. 

산초의사용 용도가 각각 다른데 음식에 들어 가는 향신료로는 덜 익은 파란열매를 따서 말려 가루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한방에서 약용으로 사용하는 산초는 열매가 익어 갈라질 무렵 채취하여 말려서 사용한다. 

산초의 효능은 다방면에서 건위, 정장, 구충, 해독작용이 있어 소화불량, 식체, 위하수, 위화장, 구토, 이질, 설사, 기침, 회충 구제에 효과가 있다. 매운 맛을 내는 산초는 국부마취작용이 있고 살충효과까지 겸하고 있다.

옛 문헌에 의하면 열매를 산초라 하며 열매껍질을 화초, 청조라 하였고 씨를 초목이라 하여 따로 약리 작용을 달리 이용하였다. 열매껍질속에는 정유라는 성분이 약 2~4% 정도 들어 있고 매운 맛 성분으로 산솔 I과 산솔Ⅱ가 5-8% 정도가 들어 있다. 열매의 매운 맛 성분은 살균작용이 있으며 구충효과도 있고 정유성분은 살충효과가 있다.

▶ 

산초의 
생김새 

산초는 키가 작은 목본 식물로 나무 줄기와 가지 사이로 가시가 서로 어긋나게 낳아 있다. 
산초 잎의 생김새는 작고 가는 타원형의 모양으로 서로 어긋나는 깃털모양을 하고 있으며 잎 끝은 날카롭고 창 처럼 뽀족하게 생겼다 

산초 꽃의 모양은 크기가 소형이며 8~9월 쯤에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그루에 달려 있는 이가화(二家花)수이며 꽃의 색깔은 황록색 꽃이며 작은 꽃들이 수십개씩 모여 우산 모양이며 마치 눈처럼 뭉쳐서 꽃봉우리를 이루며 피운다. 

산초 열매는 2개이상의 봉선을 따라 터지는 열매로서 많은 심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초 씨앗 색깔 모양은 녹갈색에서 홍색으로 익으며 검은색을 띄는게 산초 씨앗의 특징이다.

산초의 자생지 분포도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곳곳의 양지바른 산 기슭에 주로 자생을 하고 암.수가 따로 분간되어 있으며 숫나무는 꽃만 피다 열매는 달리지 않고(자웅이주,雌雄異株) 암나무만 열매를 맴는다. 

산초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 종류가 있으며 줄기에 가시가 없는 산초를 민 산초라 하고, 잎이 좁고 길이가 조그마한 모양의 산초를 좀 산초라하고 조그마한 가시가 있고 잎의 모양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인 것을 전주산초라고 한다. 

산초의 특유의 향 때문에 모기나 해충이 모이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산초나무를 집가에 심기도 하였다.


▶ 

산초의 효능

산초는 공업용, 밀원용, 약용으로 쓰이고 민간요법으로는 열매나 나무껍질, 잎을 말려 가루로 내어 밀가루와 산초를 함께 반죽하여 종이나 헝겁에 펴 발라 감염된 유선염과 종기, 타박상에 붙이면 효과 있으며, 치질에는 산초의 잎이나 나무를 달인 물로 씻으면 효과가 있고, 뿌리는 불에 태워 소말로 하여 쓰기도 한다. 

달인 물을 마시면 두통과 기침 완화에 효과가 있으며 입에 치통이 있을때는 산초 달인 물을 입에 물고 있으면 충치의 아픔도 멈춘다고 한다.

산초는 한증약재라하여 몸이 냉하고 추위를 느끼는 체질에 사용한다. 산초는 일반적으로 추어탕을 먹을때 사용하는 이유는 비린내를 없애기도 하고 신체내 장기중에 폐에 작용하여 한기를 없애주기 때문다.

산초의 민간요법

▶ 

산초 술
 
산초 재료(잔가지, 잎, 꽃, 열매)에 소주는 3~4배의 비율로 만들기도 하며 산초 열매만을 이용해 만들기도 하며 신초 나무의 굵은 가지(묵은가지)를 이용 할시에는 껍질만 이용하던지 가지를 잘게 잘게 쪼개서 산초주를 담기도 한다. 

산초주를 담그는 방법은 흑설탕이나 설탕을 이용할때는 산초 재료에 소주와 흑설탕을 각각 산초 4대 소주 12대 설탕 1정도롤 넣고 밀봉하여 서늘한 곳에 약 3개월정도 숙성시킨다. 

산초주를 마실 때는 각자 기호에 따라 꿀, 설탕,  각종 음료수와 칵테일해서 식성에 맞게 섭취를 하면 신경통, 식욕증징, 불면증, 더위 먹은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 

산초 목욕 


체질적으로 체력이 약하고 몸이 냉 하여 추위를 많이 타고 냉증으로 복통이 심한 경우에 산초 목욕을 하면 신체 보온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냉증으로  신체 기능 저하로 

안에 장기 내 가스나 노폐물 배출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다.


▶ 

옻나무 옻독


옻나무의 옻이 올랐을 때 산초 잎을 달여 옻오는 부위를 씻는다던지  산초잎을 

달인 물을 목욕물과 합하여 목욕을 하면 효과가 있다.


▶ 

산초 기름
 
예로부터 산초기름은 위급할때 사용하던 가정 상비약을 대신했으며 그외 식용, 조미료, 약용으로 두른 사용하였다.

산초 기름은 기침이 심하거나 

위장병, 천식, 부스럼 등의 치료제로 이용해 왔으며, 현대의학계에서도 산초의 고유 효능에 관해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방에서의 산초열매의 용도를 살펴 보면 산초 껍질(천초)을 약재로 이용하는데 주로 건위, 정장, 구충, 해독 등에 효능과가 좋아서, 소화불량, 식체, 

위확장, 
위하수, 구토, 

설사, 

이질, 기침, 회충구제 등등 비교적  광범위하게 사용 되었다고 적고 있다.


산초 어린 열매를 이용하여 간장 장아찌를 담가 먹기도 하는데 요즘 웰빙 식품으로 많이들 선호하는 기호 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잇으며 
열매를 잘게 썰어 후추대신에 조미료도 쓰기도 하며, 전을 부치거나 나물을 무치는데 

산초기름을 

이용하였다.

 

모시를 짜는 물레(목화 실을 뽑아내는 기구)와 싸아(목화의 씨를 빼는 기구)를 돌리는데 윤활유로도 유용하게 이용하였는데 산초기름만한 성능의 기름이 없었다고 한다.


▶ 산초 복용시 주의사항


간혹 산초나무와 제피나무는 생김새는 일반인이 쉽게 구분 할 수 없을 정도 매우 비슷하나 완전히 다른 종류의 나무이며 향과 용도도 다르다. 아무 상식 없이 산에가서 채취하여 혼동하여 사용하면 안된다. 


제피나무의 열매를 말려 가루내어 음식에 향신료로 소량씩 사용하는데 많이 섭취 할 시는 독성이 있어 주의를 해야 하고  남지방에서는 추어탕가 장어탕 등 민물고기로 탕을 끓이는 음식에  비린내를 없애는데 주로 많이 사용하며 간혹 배추 겉저리에 산초 어린 잎을 넣어 특유의 산초 향을 내는데 사용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