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타너스(버즘나무) 하면 우리에게 친숙한 가로수의 대명사이다. 각종 문학에도 종종 등장하던 프라타너스(버즘나무) 가로수가 다양한 다른 가로수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프라타너스(버즘나무) 개체수가 점점 줄어 들고 있다.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1980년 12월말 기준 프라타너스(버즘나무) 개체수는 서울시 전체 가로수 중 가장 많은 38%를 차지했고, 수양버들이 27%, 은행나무가 14%의 비율을 각각 차지했었다.
이후, 2009년 12월말 현재는 은행나무가 41%를 차지해 1위 자리 차지하고 플라타너스의 비율은 29%로 2위로 바뀌었다. 우리민족에게 친숙한 수양버들은 전체 가로수 중 비율이 고작 0.2%인 것으로 나타났다.
▶ 가로수 교체 이유
과거에는 식목 기술이 발달하지 못해 무조건 병충해에 강하고 성장이 빠른 나무 위주로 가로수를 선정하였다.
최근에는 초기 정책에서 벗어나 미관이 뛰어난 나무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고유종 위주에 기능성도 감안하는 방향으로 가로수를 교체하는 쪽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프라타너스(버즘나무)
세계 4대 가로수로 꼽을 만큼 가로수의 장점이 많은 나무다. 병충해와 생명력이 강해 고사하지 않고 성장 속도가 빠르다. 성장속도가 빠르다 보니 가지치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어 다양한 모양을 연출할 수가 잇다. 잎의 면적이 넓어 대기정화 기능이 탁월해서 공해가 심한 도시에 적합하다. 넓은 잎은 자동차나 각종 콘크리트나 아스팔트에서 뽐어져 나와서 시골보다 더 더운데 그만큼 햇빛 차단이 이뤄져 열기를 식혀 주는 역활을 하며 시원한 그늘을 제공해 준다.
프라타너스(버즘나무)는 한번 자라면 20m 이상 자라고 외래종에다 꽃이 화사하지 않고 잎이 넓기 때문에 요즘에는 고층 건물의 창이나 상가 간판을 가려서 생업에 지장이 있다는 민원이 들어 오고 있다.
현재 프라타너스(버즘나무)는 개체수는 2004년 9만8천65그루에서 2009년 8만1천162그루로 5년 사이에 1만7천 그루 가까이 줄었다.
▶ 수양버들
우리에세 친숙한 수양버들은 과거에는 서울에서 두번째로 많은 가로수였다. 알레기 연구를 하던중에 봄이면 하얗게 흩날리는 수양버들 홀씨가 코를 간지럽게 하거나 재채기를 나게 하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알레기 원인물질로 지목되면서 수양버들은 최우적으로 가로수 교체 대상이 되었다.
2009년 현재 서울시내 가로수 가운데 수양버들은 516그루에 불과하다.
▶ 이팝나무
꽃이 예뻐야 인기, 고유종도 확산 = 2000년 이후는 꽃이 예쁜 나무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 대표적인 게 이팝나무다. 2004년까지만 해도 한 그루도 없었으나 2009년부터 심기 시작해 시내 가로수가 4천742그루에 달했다.
이팝나무는 4월에 하얀 꽃을 피우는데 마치 하얀 쌀알을 연상시킨다고 해 이밥, 즉 쌀밥나무로 불린다.
본래 산에서 자라는 야생 나무로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예로부처 아름다운 꽃모양 덕분에 조경수로 인기를 끌었으며, 점차 가로수로도 사용되고 있다.
▶ 벚나무
이른 봄에 꽃이 만발하는 특성때문에 개체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가로수 개체수가 2004년 1만2천462그루에서 2009년 2만527그루로 5년 사이 60% 이상 증가했다.
▶ 소나무
나무 재배 기술이 발달로 인해 최근와서야 가로수로 인기를 끌고 있다. 2004년 359그루에서 2009년 3천521그루로 10배가량 증가했다. 우리 민족 고유의 나무라는 정서적 동질감과 사시 사철 늘 푸른 나무라 인기를 끌고 있다.
▶ 가로수의 본연 기능
가로수는 조경수와는 달리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예쁘기만 해서는 안되고 기능성이 우선 고려해야 한다. 과거처럼 병충해에 강하고 생명력이 강하고 성장이 빠른 나무 위주로 가로수를 선정하는 지향해야 하지만 미관을 고려해 보기 좋은 나무만 심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가로수는 오염물질이 많은 도시 대지에 튼튼히 뿌리를 내릴 수 있어야 하고 도시 환경각종 오염에 생명력이 강해야 한다.
무더운 여름 넓은 잎으로 시원한 나무 그늘도 제공해야 해서 햇빛단을 해야하며 여름에 도시의 대기온도를 떨어 드리는 기능을 해야하며 도시인에게도 시원한 나무 그능을 제공해야 한다. 대기정화 기능도 뛰어나야 한다.
이런 점에 비춰 최근 개체수가 많이 늘어난 소나무와 벚나무 등은 가로수로서 적합하지 않다.
잎이 뾰족한 침엽수인 소나무는 나무 그늘이 지지 않으며 병충해에 약하다. 만약 그지역에 소나무 재선충에 감염되면 가로수라도 예외가 없이 베여 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잎이 날카롭고 가늘어 인도에서 바람에 날리다가 사람 눈을 다치게 하거나 차량의 차체 사이로 끼어 들 수가 있다.
벚나무도 해충에 약하고 화려한 꽃에 모인 벌로 인해 해를 입을 수 있고 가지치기를 하면 병에 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수많은 꽃잎이 자동차 운전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이 나타남에 따라 서울시는 그동안 미관을 중시했던 정책에 따라서 10여년 전부터 프라타너스(버즘나무)를 점차 다른 수종으로 교체해 왔지만 2~3년 전부터 다시 유지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가로수 본연의 기능을 고려한다면 프라타너스(버즘나무)가 제격이다. 따라서 프라타너스(버즘나무)의 수를 너무 줄이는 것도 문제가 있다. 가로수의 미관과 기능성을 적절하게 균형을 맞추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른 가로수 정책이라고 본다.
'AS문의 010-2856-2856 일상 생활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파 효능 및 민간요법 (0) | 2010.08.26 |
---|---|
프리터족 (Free Arbeiter)에 관해서 (0) | 2010.08.26 |
디도스 (DDoS) (0) | 2010.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