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거 (興蕖 무릇) 오신채(五辛菜) 중에서
부처님께서 오신채(五辛菜)에 대해 최초로 언급한 경전
범망경(梵網經) - 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제십(盧舍那佛說菩薩心地戒品第十)
5가지 채소중에서 마늘, 파, 달래, 부추 4가지는 우리나라 음식에 양념으로 사용하는 없어서는 안될 채소 들이다. 이 4가지 채소들의 특징은 향이 강하고 독해서 맨 입으로는 먹기 힘든 채소이고 주로 음식을 만드는 주재료가 아니라 부재료인 양념용으로 사용하는 우리에게는 아주 친숙한 채소이다.
문제는 5가지 오신채(五辛菜)에 중에 마지막에 있는 채소 흥거(興蕖. 무릇)라는 채소가 논란 거리이다.
여러가지 이견을 보면 지중해가 원산지인 '래드쉬(Radish)'라는 채소가 있는데 바로 인도에서 많이 생산하는 매운 맛의 일명 빨간무 라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나머지 4가지 채소와는 너무 이질적인 채소라 거리가 있다는게 재 개인적인 생각이고 또하나 주장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나는 무룻이라는 산나물 채소이다.
무릇은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데 다른 4가지 채소처럼 비늘 줄기를 갖고 있고 맛과 향이 독하고 강해서 이 식물이 가장 흥거(興蕖. 무릇) 채소에 가장 근접한 식물이 아닌가 한다.
무룻은 지금은 잘 먹지 않지만 예전에는 어린 잎과 둥근 알뿌리를 함께 삶아 오래 조려서 엿처럼 만들어 먹기도 하고 데쳐서 나물로 뭍쳐 먹었다고 한다. 흥거(興蕖. 무릇)는 무릇이라고 하고 또다른 이름으로는 야자고, 물고리, 물구 라는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무룻은 우리나라에서 산과 들의 풀밭에서서 골고루 자라 흔하고 꽃줄기 높이는 약 30센티(cm)이내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땅 속에 있는 달걀형의 비늘 줄기는 짙은 밤색 껍질로 싸여 있으며 잎은 봄과 가을에 2번 나오는데 봄에 나온 잎은 여름에 떨어지고, 다시 가을에 잎이 2개가 마주 나온다. 꽃은 7~9월에 20~50cm 높이로 자란 꽃줄기 끝의 총상곷 차례에 아주 작은 수많은 연분홍색 꽃이 모여 달린다.
개인적으로 오신채(五辛菜) 중에 흥거(興蕖. 무릇)는 지금은 구 할 수도 없고 잘 먹지 않는 채소다. 무룻이란 채소가 진짜 어떤거냐고 따지는 것은 별 의미는 없다고 본다. 부처께서 오신채(五辛菜) 를 금하라고 말씀하신 의도는 이렇다. 수행하는 사람이 자극성이 많은 음식을 먹게 되면 기운이 밖으로 뻗쳐서 성질이 급해지고 탐내는 마음이 생겨, 수행에 방해가 된다고 보고 자제하라고 하신 말씀이 안닌가 한다.
大蒜(대산. 마늘), 革蔥(혁총. 파파), 慈蔥(자총. 달래), 蘭蔥(난총. 부추), 興蕖(흥거. 무릇)
아래에 기술한 내용과 같이 요즘 현대에 맞게 이런 채소를 금하거나 삼가하면 좋지 않나 싶어 감히 적어 본다.
大蒜(대산. 마늘), 革蔥(혁총. 파파), 慈蔥(자총. 달래), 蘭蔥(난총. 부추), 洋蔥(양총. 양파)
범망경(梵網經) - 노사나불설보살심지계품제십(盧舍那佛說菩薩心地戒品第十)
1005b14║若 佛 子 。不 得 食 五 辛 。大 蒜 革 蔥 慈 蔥 蘭 蔥
. . 마 늘 파 파 달 래 부 추
1005b15║興 蕖 。是 五 種 一 切 食 中 不 得 食 。若 故 食 者 。
. 무 릇
1005b16║犯 輕 垢 罪
"불자들아, 너희는 다섯 가지 맵고, 나쁜 채소를 먹지 말아야 한다.
마늘, 부추, 파, 달래, 흥거, 이 다섯 가지는 어떠한 음식에도 넣어 먹지 말지니,
만약 짐짓 넣어서 먹으면 가벼운 죄가 된다."
5가지 채소중에서 마늘, 파, 달래, 부추 4가지는 우리나라 음식에 양념으로 사용하는 없어서는 안될 채소 들이다. 이 4가지 채소들의 특징은 향이 강하고 독해서 맨 입으로는 먹기 힘든 채소이고 주로 음식을 만드는 주재료가 아니라 부재료인 양념용으로 사용하는 우리에게는 아주 친숙한 채소이다.
문제는 5가지 오신채(五辛菜)에 중에 마지막에 있는 채소 흥거(興蕖. 무릇)라는 채소가 논란 거리이다.
여러가지 이견을 보면 지중해가 원산지인 '래드쉬(Radish)'라는 채소가 있는데 바로 인도에서 많이 생산하는 매운 맛의 일명 빨간무 라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나머지 4가지 채소와는 너무 이질적인 채소라 거리가 있다는게 재 개인적인 생각이고 또하나 주장은 우리나라에서 많이 나는 무룻이라는 산나물 채소이다.
무릇은 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데 다른 4가지 채소처럼 비늘 줄기를 갖고 있고 맛과 향이 독하고 강해서 이 식물이 가장 흥거(興蕖. 무릇) 채소에 가장 근접한 식물이 아닌가 한다.
무룻은 지금은 잘 먹지 않지만 예전에는 어린 잎과 둥근 알뿌리를 함께 삶아 오래 조려서 엿처럼 만들어 먹기도 하고 데쳐서 나물로 뭍쳐 먹었다고 한다. 흥거(興蕖. 무릇)는 무릇이라고 하고 또다른 이름으로는 야자고, 물고리, 물구 라는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무룻은 우리나라에서 산과 들의 풀밭에서서 골고루 자라 흔하고 꽃줄기 높이는 약 30센티(cm)이내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땅 속에 있는 달걀형의 비늘 줄기는 짙은 밤색 껍질로 싸여 있으며 잎은 봄과 가을에 2번 나오는데 봄에 나온 잎은 여름에 떨어지고, 다시 가을에 잎이 2개가 마주 나온다. 꽃은 7~9월에 20~50cm 높이로 자란 꽃줄기 끝의 총상곷 차례에 아주 작은 수많은 연분홍색 꽃이 모여 달린다.
개인적으로 오신채(五辛菜) 중에 흥거(興蕖. 무릇)는 지금은 구 할 수도 없고 잘 먹지 않는 채소다. 무룻이란 채소가 진짜 어떤거냐고 따지는 것은 별 의미는 없다고 본다. 부처께서 오신채(五辛菜) 를 금하라고 말씀하신 의도는 이렇다. 수행하는 사람이 자극성이 많은 음식을 먹게 되면 기운이 밖으로 뻗쳐서 성질이 급해지고 탐내는 마음이 생겨, 수행에 방해가 된다고 보고 자제하라고 하신 말씀이 안닌가 한다.
大蒜(대산. 마늘), 革蔥(혁총. 파파), 慈蔥(자총. 달래), 蘭蔥(난총. 부추), 興蕖(흥거. 무릇)
아래에 기술한 내용과 같이 요즘 현대에 맞게 이런 채소를 금하거나 삼가하면 좋지 않나 싶어 감히 적어 본다.
大蒜(대산. 마늘), 革蔥(혁총. 파파), 慈蔥(자총. 달래), 蘭蔥(난총. 부추), 洋蔥(양총. 양파)
'AS문의 010-2856-2856 옥매트 전기매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 사용률 100% 원인 예방 (2) | 2012.07.20 |
---|---|
석면(石綿 Asbestos)피해와 용도 관련해서 (0) | 2012.07.20 |
FCC (Federal Communication Committee) (0) | 2012.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