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S문의 010-2856-2856 옥매트 전기매트 정보

CPU 사용률 100% 원인 예방

윈도우즈 OS를 사용하다보면 CPU 점유율이 갑자기 100%로 올라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CPU 점유율이 100%로 올라 가면 컴퓨터가 버벅 거리고 랙이 걸리거나 갑자기 시스템이 다운되는 현상이 자주 일어 난다. CPU 점유유이 100%로 올라가는 원인은 상당히 다양하지만 왼도우 XP의 경우 대표적인 사례 4가지를 한번 살펴 보겠다. 

 ▶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 

 몇몇 프로세서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CPU 점유율이 100%로 올라갈 수 있다. 이런 경우는 초보자인 경우는 컴퓨터 내에 있는 데이타를 백업한 다음에 왼도우 시스템을 포맷 한 다음에 다시 설치하는 방법이 좋다. 멋모르르고 OS 리소스를 만지다가는 귀중한 데이타를 통채로 잃을 수 있다. OS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이 있다면 직접 리소스를 조작해 삭제하는 방법이 있다. 간혹 CPU를 100%를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정체 모를 프로세서인 경우 일단 바이러스 검사를 수행해서 바이러스인지 시스템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인지 알고 난 다음에 포맷하고 시스템을 새로 설치 할 것인지 감염된 프로세서만 지울 것인지 결정하면 된다. 

 ▶ 원격 DoS 공격을 당한 경우 

 윈도우즈 OS 인 XP의 445 포트를 통해 DoS 공격이 가해지는 경우 CPU 점유율이 100%로 올라갈 수 있다. 워낙 요즘은 DOS 공격이 치밀하고 정교해서 좀처럼 알 수가 업서다. 이런 경우에는 컴퓨터 사용자들은 전혀 눈치를 못채는 경우가 많고 단순히 컴퓨터가 노후화 되어 그런가 하고 그냥 느린데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방지책은 1차적으로 Microsoft 사의 홈페이지에서 최신 패치를 설치하고, XP에서 제공하는 방화벽 관리를 신경을 써서 철저히 방어를 해야 한다. 

 ▶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 


 정체 모를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무심결에 설치된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바이러스 모니터링 프로그램이나 필터링 프로그램은 현재 실행되는 모든 프로세스와 인터넷을 통해 다운 받은 모든 파일을 쉴새 없이 감시하고 모니터링 한다. 따라서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의 몇몇 버전에서 이와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안티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설치해 사용하고 있다면 해당 안티 프로그램 홈페이지에 안내를 참고하여 그때 그때 최신 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를 하여 사용해야 한다. 

 ▶ 손상된 AVI 파일이 있는 폴더를 열거나 손상된 AVI 파일을 열려는 경우 

이렇게 손상된 AVI 파일의 경우 이동/삭제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고 손상된 AVI 파일을 열거나 손상된 AVI 파일이 있는 폴더를 탐색기로 열면 윈도우 탐색기의 CPU 점유율이 100 %로 증가한다. 이 문제는 근본적으로 손상된 AVI 파일에 대한 접근이 허용되기전 에 윈도우 탐색기가 손상된 AVI 파일 전체 내용을 읽으려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shmedia.dll의 오동작에 기인항다. 따라서 이문제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절차는 다음과 같다. 시작/실행/regedit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한 다음 레지스트리로 이동한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CLSID 에서 {87D62D94-71B3-4b9a-9489-5FE6850DC73E}을 클릭하면-InProcServer32을 좌측 패널의 InProcServer32키을 삭제한다. 

AVI 파일은 AVI 파일을 만들때 사용되는 코덱에 따라 상당히 다양한 형식을 지원한다. AVI 파일의 확장자와 헤더 형식은 AVI이지만 내부에 사용된 동영상은 MPEG, JPEG, MOV등 여러가지 AVI형식이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AVI 파일중 문제가 되는 형식은 MPEG 4 형식을 사용한 AVI 파일 확장자 DL이다. MPEG 4 소스를 사용한 AVI 동영상파일은 MP43 코덱, DivX 코덱, Xdiv 코덱등을 사용하는 동영상으로 현재 인터넷에서 구할 수 있는 대부분의 동영상 AVI파일 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추가 

그간 잘 사용하던 컴퓨터가 컴퓨터내의 CPU가 수시로 100% 점유되고 버벅거리면서 시스템 다운될 정도 라면 수시로 레지스트리 정리와 디스크조각모음, 디스크 정리를 해 주시고 시동시 동시에 시스템과 시작하는 시작프로그램을 최소한으로 줄여준 다음 재부팅해서 다시 시도해 본다. 하지만 설치가 오래 된 컴퓨터의 경우 각종 프로그램을 지웠다 설치 했다하면서 찌꺼기 데이타들이 남아서 사용 할 수록 필연적으로 시스템이 무거워 지며 시간이 지날 수록 각종 충돌과 에러가 나고 느려진다. 이럴때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데이터를 백업하고 완전 포맷을 한 다음에 시스템을 새로 설치하는 방법이 근본을 해결 할 수 있으며 시간절약과 함께 정신 건강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