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 소재하고 있으면서 박테리아 연구를 하고 있는 티모시 웰스 박사팀은 란셋 전염병 저널이란 잡지 온라인 판에서 발표를 했는데 내용을 살펴 보면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이 위치하고 있는 일부의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이미 NDM-1이라는 이름의 슈퍼버그(SuberBug)가 이미 출현 했으며 특별한 방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 전 세계로 확산 될 조짐이 있다고 주장했다.
티모시 웰스 박사팀은 이 신종 슈퍼버그(SuberBug)의 전파 경로는 해당지역에 해외의 의료서비스를 찾아 나선 ‘의료관광’ 사례를 통해 주로 감염 확산되고 있으며, 슈퍼버그(SuberBug)의 일종인 NDM-1 감염 사례를 추적 조회한 결과 인도 첸나이와 하리아나 병원에서 수집한 샘플을 조사를 하였으며 두 지역에서 각각 44건과 26건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감염로는 미용성형 수술을 받은 사람들에게서 많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영국 의료당국은 이들이 최근 인도나 파키스탄에서 의료 관광으로 가서 성형수술을 받은 뒤 NDM-1 효소를 생성하는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됐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티모시 웰스 박사 연구팀의 발표에 의하면 인도를 비롯해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에서 시작된 신종 바이러스 슈퍼버그(SuberBug)가 영국으로까지 확산되고 있으며 다른 인도 지역과 방글라데시, 파키스탄에서도 73건이 확인 됐으며 영국에서는 현재 37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발견 즉시 격리되어 치료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NDM-1은 인도에서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아에 의료 관광을 다녀온 환자에게서 최초로 발견된 만큼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해당 아시아 지역 여행자들은 철저히 감염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NDM-1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현재 개발된 어떤 항생제로도 치료가 불가능한데 참고로 현존 항생제 가운데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카바페넴계 항생제도 NDM-1에는 듣지 않았다는 사실을 12일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판에 보도했다.
슈퍼버그(SuberBug)는 모든 항생제에도 내성을 보이며 식도를 통해 위장에 위염을 일으킨 뒤 혈액을 통해 위, 폐, 요도 등 주요 장기에 침투하여 동시에 장기 손상을 일으키며 최악의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고 보고됐다. 슈퍼버그(SuberBug)는 지난 2008년 의료 관광을 간 스웨덴 환자가 뉴델리에서 수술 중 감염된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된 뒤 NDM-1로 이름 붙여진 것으로 전해졌다. 슈퍼박테리아의 일종인 NDM-1의 명칭은 뉴 델리 메탈로 베타 랙타매이즈`(New Delhi metallo beta lactamase)의 약자이다.
슈퍼버그(초강력 박테리아)가 인도에서 발생해 세계로 퍼져 나가고 있다는 영국 과학자들의 발표에 인도 의료계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이는 명백한 편견이며 인도 의료관광을 시기한 발표라고 타임즈오브인디아와 힌두스탄타임즈 등 인도 주요 언론들이 보도했다.
현재 인도의 의료 시장 규모는 3,000억 원에 달하고 있으며 저렴한 치료 비용과 최고의 서비를 제공하는 무기로 연간 110만 명의 외국인 환자가 이른바 의료 관광을 가서 치료하고 있다. 그만큼 해당 미국이나 영국등 선진국들의 의료시장이 타격을 받는건 사실이다.
보통 미국이나 영국 등 선지국에서 3만에서 5만 달러 정도 하는 심장혈관 수술을 인도에서는 6,500달러에 가능하다. 이런 이유로 이 같은 발표에 인도 의료계는 연간 120억루피(한화 약 3000억원) 규모에 달할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는 인도 의료 시장에 대한 경고라고 반발하고 있다.
한편 유럽연합(EU)도 슈퍼버그(SuberBug)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의료 공조 체계를 서두르고 있다고 FT는 보도했다. EU 전체를 통틀어 보면 해마다 전염병 발생으로 수십만명의 환자들이 발생하고 전염병으로 인해 사망하고 있으며, 관련 치료에 지출되는 비용은 10억 5000만유로(약 1조 6000억원)가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AS문의 010-2856-2856 일상 생활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면예금계좌 돈 찾기 (0) | 2010.09.14 |
---|---|
생활정보 단축 전화번호 모음 (0) | 2010.09.02 |
베르너 증후군(Werner Syndrome) 조로증(Progeria) (0) | 2010.09.02 |